복서 김득구, '헝그리 스포츠'의 마지막 세대가 될 뻔했다

장호철 입력 2018. 11. 18. 11:15 수정 2018. 11. 18. 11: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역사 공부 '오늘'] 1982년 11월 18일, WBA 타이틀전에서 KO패 뒤 사망

[오마이뉴스 장호철 기자]

 김득구(1955~1982). 1982년 챔피언 도전전에서 쓰러져 사망했다.
ⓒ 나무위키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복싱협회(WBA) 라이트급 타이틀전에서 미국의 레이 맨시니에게 도전하여 14회에 KO패하고 나서 의식을 잃었던 김득구(1955~1982)가 나흘 뒤에 사망했다. 챔피언이 되어 가난을 벗어나 펴려던 그의 꿈도 같이 스러졌다. 향년 27세.
강원도 고성에서 5남매의 막내로 태어난 김득구는 2살 때 부친을 여의고 어머니가 개가하면서 의부의 성을 따라 김득구가 되었다. 가난하게 자라다 1972년 이복형제들과의 갈등으로 가출하여 상경하였을 때 그는 열일곱 살이었다.
 
그는 신문 배달, 구두닦이, 중국집 배달원 등 온갖 허드렛일을 하면서 살다가 검정고시를 거쳐 천호상고에 진학했다. 그가 권투를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 아마추어로 뛰다가 1978년 프로가 되었다. 1980년 한국 챔피언, 1982년 2월엔 동양 챔피언 타이틀을 거머쥐면서 세계복싱협회(WBA) 랭킹 1위가 되었다.
 
김득구, 경기에서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다

1982년 11월 14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 호텔 특설 링에서 열린 WBA 라이트급 챔피언 전에서 당시 챔피언 레이 맨시니에게 도전하게 된 것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였다. 목숨을 걸고 타이틀을 빼앗아 오겠다는 의지의 표시로 그는 '모형 관'을 가지고 태평양을 건넜다.

 
 김득구는 나흘 후 사망했다.
ⓒ 장호철
경기에서 9회까지만 해도 김득구의 저돌적 공격이 다소 우세했다. 그러나 10회에 들자 그는 지쳐 있었고 챔피언 맨시니는 공격을 주도하기 시작했다. 11회에는 다리가 풀려 있었지만, 김득구는 간신히 정신력으로 버텨내고 있었다. 14회, 공이 울리자 용수철처럼 튀어나간 김득구는 맨시니의 일격에 쓰러졌고,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사인은 뇌사였다. 당시 뇌사판정 뒤 인공호흡기를 떼어내는 데 가족 동의가 필요하게 되자 그의 어머니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김득구는 심장과 신장을 미국인에게 주고 고단했던 세상과 이별했다. 
엄청난 투혼에도 불구하고 결국 링에서 쓰러진 권투 선수에 대한 국내 여론은 상당히 비감한 민족 감정을 불러일으켰던 듯하다. 그의 장례가 권투인장으로 치러지고, 체육훈장(백마장)까지 추서된 것은 그런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었다.
 
1981년에 신춘문예로 등단한 곽재구 시인은 시 <김득구>를 써 그의 죽음을 추모했다. 시인은 김득구의 도전을 '조선낫'과 '조선 맷돌'로 표현했고, 가난한 청년의 슬픔과 기다림을, 그리고 무너져 내린 희망을 노래했다. 조선낫을 휘두르는 청년 앞에 선 것은 '부와 프런티어 정신'으로 무장한 초강대국, '돈이 많은 나라'였다.
 
외로운 네가
허공을 향해 조선낫을 휘두를 때
흰옷 입은 우리들은 아리랑을 불렀다
사랑과 집념을 위해
아니 그보다는 한 맺힌 네
슬픔과 기다림의 절정을 위해
너는 낯선 땅 힘센 미국 선수의
빛나는 부와 프론티어 정신 앞에
덜그럭거리는 조선맷돌 하나의 힘으로
네 슬픔의 마지막 절정 위에 큰 칼을 씌웠다
돈이 많은 나라
자국민의 자유와 평화를 위해
아낌없이 사랑과 포탄을 쓰는 나라
우리들은 오늘 그 나라 대통령이 원하는
레바논 전쟁에 우리들의 꿈을 팔 것인가 생각하고
아침저녁 TV는 우리들의 희망 위에
또 한 겹 두터운 포장지를 씌우겠지만
너는 부서질 줄을 알고
너는 너의 슬픔의 한없는 깊이를 알고
너는 너의 사랑의 겸허한 목소리를 알고
너를 기다리는 사립문 위
어머니의 오랜 박꽃까지 알면서도
덜그럭거리는 조선 맷돌 디딜방아 한 방으로
이 낯선 힘센 나라의 콘크리트
벼랑 위에 부딪쳐 쓰러지는구나
사랑이 많은 나라
그리움이 깊어 속살 푸른 가을하늘의 나라
득구, 너의 고향 북한강에 지금은
늦가을의 골 안개 희게 흩어지고
네가 싸운 미국 땅 부러우면서도
아무런 부러움도 남길 것 없는 타인의 땅을 생각하며
우리들이 세워야 할 힘센
사랑과 희망의 푸른 그 날을 위해
오늘 네 쓰러진 머리 힘 빠진 목줄기에
네 어린 날 검정 고무신짝으로
네 고향 북한강 푸르디푸른 그리움의 강물을 쏟는다.
 
-곽재구, 「김득구」 전문

김득구의 죽음은 한국 사회뿐 아니라 미국 사회에도 깊은 충격을 던졌다. 두 달 후에, 그의 어머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촉망받던 복서였던 상대 선수 레이 맨시니도 트라우마에 시달리다가 권투를 그만두었다. 국내에서도 1960년대 이후로 최고의 스포츠로 인정받던 권투가 위험한 스포츠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했고 미국 의회에서 권투의 위험성에 대한 청문회가 열리기도 했다.
 
결국 권투계는 세계 챔피언전 15라운드 경기를 12라운드로 줄였고, 라운드 간 휴식시간을 60초에서 90초로 늘리면서 스탠딩다운제를 도입해야 했다. 올림픽의 권투 경기에서도 1984년 하계올림픽부터 헤드기어 착용을 의무화했다.
  
 김득구의 이야기는 2002년 곽경택 감독이 영화 <챔피언>으로 만들었다. 유오성이 김득구로 분했다.
ⓒ (주)진인사필름
 한국에서 권투가 매력 있는 스포츠로 떠오른 것은 역시 1960년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세계 챔피언을 배출하면서부터였다. 김기수(1939~1997) 선수가 1966년 6월 25일 장충체육관에서 이탈리아의 니노 벤베누티를 판정으로 꺾고 세계복싱협회(WBA) 주니어 미들급 챔피언에 오른 것이다.
 
최초의 챔프 김기수 이후 '헝그리 스포츠' 복싱 열기 고조
이 경기가 열릴 때 장충체육관에는 박정희 대통령을 비롯해 6500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김기수는 챔피언 타이틀을 딴 뒤 6월 27일 오후 1시간 반 동안 코치와 매니저와 함께 오픈카를 타고 시가행진을 벌였다. 아마 대통령의 권유나 승인이 있어 가능한 시가행진이었을 것이다. 세계 챔피언에 오른 선수들이 승리 소감을 말하면서 '대통령 각하' 운운하는 관행은 이때부터 시작되었는지도 모른다.
 
권투는 흔히들 말하는 '헝그리(hungry) 스포츠'를 대표한다. 춥고 배고픈 선수들이 이를 악물고 기량을 길러 챔피언으로 거듭나는 프로복싱은 칠팔십년대의 최고의 동경 대상이었다. 가난을 이기고자 매를 맞아 돈을 벌던 복서들은 세계타이틀을 거머쥐게 되면 영웅적 입지전의 주인공으로 등극하곤 했다.
 
1980년대 초반, 머나먼 미국 땅까지 원정을 갔다가 적지에서 너무 강한 적수를 만나 패배하고 영영 깨어나지 못한 김득구는 그 같은 헝그리 스포츠의 마지막 세대가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한 십 년쯤 뒤로 미루어졌다.
 
80년대에 등록선수로 넘쳐나던 프로복싱은 90년대 중반 이후, 불과 10년 사이에 3분의 1가량으로 줄어들었다. '매 맞아서 돈 버는' 복싱이나 레슬링 같은 스포츠가 메달 종목에서 노메달로 바뀌는 것은 비슷한 추세로 진행되었다.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에서 복싱이나 유도, 레슬링 같은 투기가 효자 종목 노릇을 하던 것도 옛이야기가 된 것이다. '노 골드'에 '노 챔프'가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시대가 된 것이다.
 
 
 최요삼
ⓒ WBC 누리집 '명예의 전당' 갤러리
그러나 지원자가 줄었어도 복싱이 '매를 피할 수 없는 스포츠'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다. 2008년 새해 벽두에 세계복싱기구(WBO) 플라이급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최요삼(1973∼2008)이 그 전년도 12월 25일 1차 방어에 성공하였지만, 경기 직후 실신하여 병원으로 옮겨졌다가 뇌사판정을 받고 숨졌다. (관련 기사 : 최요삼과 김득구, 두 죽음에 부쳐)
 
"더 이상 맞고 싶지 않다. 피 냄새 맡고 싶지 않다. 그리고 어려운 사람 도와주고 싶다."
 
그가 일기장에 남긴 기록은 복싱이 상대에 대한 가격의 유효성을 매기는 원시적 성격에 기반을 둔 스포츠라는 걸 환기해 주었다. 마우스피스를 끼어도 한 라운드가 끝날 때마다 침을 뱉으면 피 섞인 모래(실제는 치석 떨어진 것)를 한 줌씩 뱉어낸다는 복서들. 매 라운드가 너무 힘들어 상대 선수가 아니라, '기권해 버릴까 말까 하는 자기 의지'와 싸워야 하고 경기가 끝나면 화장실에서 피오줌을 누어야 하는 그들에게 복싱은 버릴 수 없는 천형의 운명 같은 것이었다.
 
중학교 2학년 때부터 권투를 시작해 1993년에 프로로 데뷔했던 최요삼은 심장, 신장, 간장, 췌장 등 최대 9부분의 장기를 이식자들에게 남기고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났다. 그의 장기 기증으로 모두 여섯 명이 새 생명을 얻었다.
  
 세계권투평의회(WBC) 누리집의 '명예의 전당'에 실려 있는 최요삼 관련 기록
ⓒ WBC 누리집 갈무리
 자기 몸을 아낌없이 내주어 그는 '영원한 챔피언'이 되었다. 정부도 김득구에 이어 그에게 체육훈장 백마장(4등급) 추서했다. 2009년에는 세계권투평의회(WBC)가 최요삼을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 그는 죽어서 비로소 매 맞는 고통에서 놓여났고 여느 챔피언과는 다른 지위에 올랐다. (관련 글 : 프로복서 고 최요삼, 'WBC 명예의 전당'에 헌액)
  
그리고 마침내 최요삼이 헝그리 스포츠의 마지막 세대가 되었다. 이제 힘들여 훈련해야 하는 육상이나 몸이 상할 수밖에 없는 복싱, 그밖에 언론의 조명을 받지 못하는 비인기 종목은 기피되고 있다. 운동도 가려서 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것은 스포츠를 통해서 가난을 벗어나 부를 이루고, 신분 상승까지 노리던 한 시대가 지나가고 있다는 의미로 읽힐 수 있겠다. 기성세대는 힘들여 이루는 것보다 쉽게 얻을 수 있는 편안한 일만 찾는다고 혀를 찰지 모르지만, 시대가 그런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는 걸 부정할 도리는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김득구와 날짜 이미지는 왼쪽 오른쪽 배치를 했는데 제대로 안 되네요...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