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위기의 레슬링, 다시 출발..캐치프레이즈 '어게인 1976' 선포
김경윤 입력 2021. 09. 23. 17:52 수정 2021. 09. 23. 18:29기사 도구 모음
2020 도쿄올림픽에서 반세기 만에 '노메달'을 기록한 한국 레슬링이 부활을 위해 다시 뛴다.
대한레슬링협회는 23일 'Again(어게인) 1976'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선포하고 쇄신 작업에 들어갔다.
협회는 캐치프레이즈에 관해 "한국 레슬링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가 대한민국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한 뒤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한국 레슬링이 다시 뛴다는 의미로 해당 캐치프레이즈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2020 도쿄올림픽에서 반세기 만에 '노메달'을 기록한 한국 레슬링이 부활을 위해 다시 뛴다.
대한레슬링협회는 23일 'Again(어게인) 1976'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선포하고 쇄신 작업에 들어갔다.
협회는 이날 홍보대사로 배우 김기무, 아나운서 김환, 배우 박선우를 위촉한 뒤 "레슬링 홍보 활동 확대, 생활체육 저변 확대 및 활성화, 엘리트 스포츠 인식 개선과 레슬링 전용 기반 시설 개선을 위해 힘쓰겠다"고 밝혔다.
협회는 캐치프레이즈에 관해 "한국 레슬링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양정모가 대한민국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한 뒤 발전하기 시작했다"며 "한국 레슬링이 다시 뛴다는 의미로 해당 캐치프레이즈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레슬링 대표팀은 지난 3월 국제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출국길에 올랐다가 국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집단 감염되면서 올림픽 출전권을 단 2장 획득하는 데 그쳤다.
아울러 도쿄올림픽에 출전한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67㎏ 류한수(삼성생명)와 남자 그레코로만형 남자 130㎏급 김민석(울산남구청)은 모두 16강에서 탈락해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한국 레슬링이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건 1972년 뮌헨 올림픽 이후 49년 만이다.
레슬링 대표팀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양정모), 동메달 1개(전해섭)를 획득한 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까지 40년간 메달 행진을 이어왔다.
cycle@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성상납 의혹' 기업 대표 "이준석에 20여회 넘게 접대"(종합) | 연합뉴스
- 개그우먼 오나미, 전 축구선수 박민과 9월 결혼
- [영상] 넷플릭스 드라마에 욱일기 문양 노골적으로 노출 | 연합뉴스
- 나토 홈피에 '눈감은' 尹사진…대통령실 "사진교체 요청" | 연합뉴스
- 김여사, 스페인서 외교무대 데뷔…마지막 일정은 韓식료품점 방문(종합2보) | 연합뉴스
- 인터넷 방송하다 여성 성폭행한 20대 구속…"도주 우려"
- 일본 끌려간 도예 명장의 후손…424년만에 선조 묘 참배
- '1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10만원 더' 청년내일저축계좌 모집 | 연합뉴스
- 폭우로 생긴 물웅덩이에 건설근로자 빠져 숨져…중대재해법 조사
- 자녀살해 후 극단선택…법원은 "동반자살 아닌 살인" 질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