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행이라면서 쉬쉬.. 최악의 스캔들로 번지는 MLB 부정투구

김영서 입력 2021. 6. 11. 06: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물질을 사용한 부정투구 논란에 휩싸인 뉴욕 양키스 게릿 콜. 사진=게티이미지

최근 미국 메이저리그(MLB)에 ‘부정투구’ 논란이 일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투수인 게릿 콜(31·뉴욕 양키스)이 ‘스핏볼(spit ball)'을 던졌다는 의혹이다. 이뿐만 아니다. 트레버 바우어(30·LA 다저스), 다르빗슈 유(35·샌디에이고) 등 정상급 투수들의 이름이 줄줄이 소환되고 있다.

━ 논란의 핵심은 공의 '회전수'

시작은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클리블랜드 소속이던 트레버 바우어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충격적인 폭로를 했다. 바우어는 “파인타르(pine-tar·송진)를 쓰면 공의 회전수를 약 400rpm까지 올릴 수 있다. 이건 스테로이드 복용보다 효과가 크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파인타르를 사용하는 선수로 콜과 저스틴 벌렌더(38·휴스턴) 등 당시 휴스턴 소속 선수들을 거론했다. 실제 콜은 피츠버그에서 휴스턴으로 이적 후 공의 회전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올해 초에는 LA 에인절스의 클럽하우스 매니저였던 라이언 하킨스가 구단으로부터 해고당한 뒤 소송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콜과 벌렌더 등 정상급 투수들이 이물질을 사용해 부정 투구를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선수들의 부탁을 받아 자신이 직접 로진과 파인타르를 섞어 만든 이물질을 제공했다고 폭로했다. 그 증거로 콜이 부정투구를 위한 물질을 요구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법원에 제출했다.

부정투구 논란의 핵심 요인은 회전수다. 회전수와 구위가 반드시 정비례하는 건 아니지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건 부정하기 어렵다.

올 시즌 MLB 전체 평균자책점은 9일(한국시간) 기준으로 4.06이다. 60경기 단축 시즌이었던 지난해(4.44), 2019년(4.49)보다 낮다. 올 시즌 리그 평균 타율은 0.237로 2020년(0.245), 2019년(0.252)에 비해 급격히 떨어졌다. 투수에게 유리한 어떤 요소가 강하게 작용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부정 투구 논란이 일어나자 콜의 회전수가 갑자기 떨어졌다. 콜은 지난 4일 탬파베이전에서 포심 패스트볼 평균 회전수 2436회를 기록했다. 이는 올 시즌 콜의 포심 패스트볼 평균 회전수 2561회에 비해 125회나 줄어든 수치다. 포심 패스트볼뿐만 아니라 너클 커브(-78회), 체인지업(-77회), 슬라이더(-48회)의 회전수가 모두 감소했다.

그런데 부정투구 논란의 고발자격인 바우어도 최근에는 파인타르를 사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다. 지난 7일 애틀랜타전에서는 포심 패스트볼 평균 회전수가 2612회로 시즌 평균 2835회보다 크게 줄었다.

이물질 관련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되자 MLB 사무국은 공에 이물질을 묻히는 투수들의 행위를 단속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스포츠 전문매체 ESPN은 지난 6일 “심판들은 경기 중 무작위로 공을 검사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파인타르 사용이 적발된 2014년 4월 당시의 마이클 피네다. 사진=게티이미지

━ 관행처럼 여겨지는 부정투구

부정투구 논란은 야구의 오랜 역사와 함께했다. 스핏볼은 침이나 바셀린 등을 발라 던지는 공을 가리킨다. MLB 야구 규칙 6.02(c)에 의하면, 투수가 투구에 도움을 받기 위해 이물질을 공에 묻히는 행위는 금지된다. 이물질을 사용하면 손과 공의 마찰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는 투구의 회전수를 높이고, 변화구의 각을 크게 만든다는 의혹으로 연결된다.

문제는 공에 이물질을 바르거나 흠집을 내는 등의 부정투구를 그동안 MLB 현장에서 암묵적으로 용인했다는 것이다. 이유는 단순하다. 자신이 속한 팀의 투수도 파인타르와 바셀린을 비롯한 이물질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알기 때문이다. 일종의 관행처럼 받아들여졌다.

스핏볼은 한때 MLB에서 부정적인 투구가 아니었다. 경기 중 선수가 사구(死球)를 맞고 사망한 사고 이후 스핏볼을 규제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1920년 8월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유격수인 레이 채프먼이 뉴욕 양키스의 투수 칼 메이스가 던진 스핏볼에 얼굴(관자놀이)을 맞고 사망한 바 있다. 스핏볼은 이후 원칙적으로 금지됐다.

하지만 투수들은 유니폼이나 모자, 글러브 등에 헤어젤이나 왁스, 바셀린 등을 발라두었다가 자연스럽게 공에 묻혔다. 또한 모자챙에 파인타르를 발라놓고, 챙을 만진 손으로 공을 문지르기도 했다. 물론 티 나게 사용한 경우에는 심판에게 적발돼 징계를 받았다. 지난 2014년 4월 뉴욕 양키스 마이클 피네다는 목에 파인타르를 바르고 경기에 나섰다가 10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은 바 있다.

MLB는 스핏볼뿐만 아니라 샤인볼(shine ball·유니폼이나 글러브 등에 문질러 미끌거리게 한 공), 머드볼(mud ball·진흙을 묻힌 공), 에머리볼(emery ball·사포 등 날카로운 물질로 표면을 거칠게 만든 공) 등을 부정투구로 규정하고 있다. 지난 1987년 미네소타의 조 니크로는 에머리볼을 사용하다 퇴장당했다. 경기 중 심판이 니크로에게 다가가 글러브와 바지 주머니를 검사했다. 니크로는 발뺌을 하는 척 연기를 하다 주머니에 있던 사포를 그라운드에 슬쩍 던져버렸다. 이 모습이 심판에게 들켰다.

부정투구에 대한 엄격한 단속이 필요해졌다. 사진=게티이미지

━ 해법은 '엄격한 단속'뿐

부정투구 논란은 왜 끊이지 않는 것일까. MLB 전문가 송재우 MBC SPORTS+ 해설위원은 “성적을 잘 내고 싶은 투수의 욕심이 부정투구의 가장 큰 원인”이라며 “시속 100마일(161㎞)을 넘는 스피드에 회전력이 좋아져 무브먼트까지 갖춘다면 타자들이 쉽게 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빠른 공을 던지는 투수들이 부쩍 많아졌는데, 이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싶은 욕심이 부정투구의 유혹에 빠지게 한다는 것이다.

한 미국 스포츠 매체는 부정투구 논란이 스테로이드 스캔들 이후의 가장 큰 추문이라고 꼬집었다. 송재우 해설위원은 “금지 약물이 논란이었던 2000년대 초반과는 달리, 부정투구는 투수에게 한정된 문제다. 계속 거론되는 거물급 선수들이 이물질을 사용한 게 밝혀진다면 상당히 큰 반향을 일으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해당 선수가 쌓아 놓은 기록에 물음표가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MLB 사무국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이상, 부정투구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이다. 송재우 해설위원은 “심판이 제보를 받거나 경기 중 이상함을 느꼈을 때 투수가 던진 공을 압수해서 보관했다가 성분 검사를 하는 등의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투수의 경기력과 경기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명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서 인턴기자

Copyright © 일간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