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는 구라다] 짠물 1위 류현진에게 괜한 잔소리

조회수 2018. 9. 21. 07:38 수정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벌써 10년 가까이 됐다. 기억도 새록새록하다. 요즘 같지 않은 때였다. 아마도 한국 야구가 가장 찬란했던 시절이었을 것이다.

2009년 WBC 2라운드 한ㆍ일전이었다. 1루 주자가 도발을 시작했다. 슬금슬금 리드를 키우는 중이다. 그 때였다. 투수의 번개같은 견제 동작이 나왔다. 화들짝!!! 주자는 황급히 몸을 던졌다. 간신히 1루로 되돌아갔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웬걸. 공은 여전히 투수의 손에 있었다. 페이크 동작이었던 것이다.

“우리쪽 응원석에서 난리가 난 거예요. 그래서 한 번 더 해봤죠. 똑같은 동작이 반복되더라구요.” 1루 주자는 천하의 이치로였다. 그에게 굴욕을 선물한 씬이었다. 아울러 봉중근 의사의 탄생을 알리는 역사적인 장면이었다.

시간은 어쩔 수 없나보다. 의사는 은퇴를 선언했다. 조만간 고별식이 열릴 것이라는 슬픈 소식이다.

그는 나중에 그렇게 얘기했다. 발군의 견제 능력은 애틀랜타 시절에 터특한 것이라고. 당시 그곳에는 두 명의 탁월한 스승이 있었다. 톰 글래빈과 마이크 햄튼이었다. 모두 주자 검거율로 손꼽히던 좌완 투수들이다.

                                    KBS-TV 중계화면

봉중근 의사가 존경했던 톰 글래빈

톰 글래빈의 하드웨어는 별 볼 일 없다. ML 투수치고는 평균치 이하다. 키는 겨우 6피트(182.8㎝), 몸무게도 200파운드(90㎏)에 불과하다. 여기서 벡터량(속도)을 기대한다는 건 물리학적으로 불가능하다. 빠른 공은 90마일을 넘기 어려웠다. 평균 구속? 기껏 80마일 중반대였다.

그렇다고 다채로운 것도 아니다. 거의 투 피치에 가까웠다. 패스트볼+체인지업의 패턴이었다. 도대체 300승, 사이영상 2회 수상은 어떻게 이뤘을까. 의아함이 당연하다. 하지만 답은 간단하다. 스피드 빼고는 모든 걸 갖췄기 때문이다.

봉중근 의사가 감탄한 견제 능력은 기본이다. 탁월한 필딩(수비), 만만치 않은 타격까지(실버 슬러거 4회) 갖췄다. 풀타임이 된 1988년(22세)부터 42세 시즌인 2007년까지. 20년간 매해 25번 이상 선발 등판을 책임졌다. DL이 무슨 단어의 이니셜인 지도 모른다.

2014년 명예의 전당 헌액식 때. 왼쪽이 글래빈, 오른쪽은 그렉 매덕스.        사진 제공 = 게티이미지

그러나 무엇보다 결정적인 게 있다. 완벽한 제구력이다. 흔히 말하는 핀 포인트를 저격술을 가졌다.

말했다시피 그는 철저한 외곽주의자다. 고집스럽게 바깥쪽만으로 상대한다. 그걸로 정글에서 살아남은 데는 비결이 있을 것이다.

스카우팅 리포트는 한 줄로 요약했다. ‘generous home plate umpire.’ 관대한 구심들만 만났다는 뜻이다. 유독 그에게만 인심이 후했냐? 물론 그럴 리 없다. 거칠게 얘기하면 심판들을 가지고 놀았다는 의미다.

이를테면 이런 말이다. 플레이볼이 선언됐다. 그가 던지는 공은 계속 먼쪽을 들락거린다. 잡아주면, 조금 더 빠져나간다. 안 잡아주면? 몇 인치 안으로 들어온다. 그런 식으로 간을 본다. 구심의 성향을 파악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그 경계 부근에 집중적으로 몰아넣는다.

이쯤되면 심판도 헷갈리기 시작한다. 3~4회가 되면 자기도 모르게 존이 조금씩 넓어진다. 관대해진다는 건 그런 뜻이다. 덕분에 타자의 신경질은 덤으로 구경할 수 있다.

놀랍다, 후반기 볼넷 허용 리그 1위

괴물이 크게 한 건했다. 엄청난 경기를 승리로 이끌었다. 3연전 싹쓸이의 시작이었다. 천적을 기죽인 승부도 만족스러웠다. 몸 풀 때 겨우 몇 번 던져본 게 전부란다. 그 신형 커터로 이 정도라니 놀라울 따름이다. 이쯤이면 목에 힘 좀 줘도 뭐랄 사람 없다. 덕아웃에서 다리 쩍 벌리고 앉아도 예뻐 보일 뿐이다.

모두가 제구력 덕분이다. 내외곽을 현란하게 넘나들었다. 몰리는 공은 거의 없었다. 대신 보더 라인에 걸치는 공들이 수두룩했다. 자신도 호투 비결을 로케이션으로 꼽았다.

로키스전 승리 후 인터뷰에 이런 대목이 있었다. 이안 데스몬드에 3볼로 몰린 데 대한 질문이었다. 대답은 명료했다. “홈런 맞을 생각으로 던졌다. 주자는 내보내지 말자고 던졌다. 맞더라도 가운데 던지려고 했다.” 그가 늘 하는 말이다. “볼넷 주는 건 질색이다.”

깔끔함은 기록으로 나타났다. 놀라운 결과다. 후반기 7번 등판에서 허용한 볼넷이 3개에 불과하다. 그나마 1개는 고의4구였다. 9이닝당(BB/9)으로 환산해보자. 40⅔이닝이었으니, 0.66개에 불과하다. 2게임을 완투해도 볼넷 1개 정도밖에 주지 않는다는 얘기다. 짜도 너무 짜다. 소금이 뚝뚝 떨어진다.

이 정도면 리그에서도 톱 클래스다. 40이닝 이상 던진 116명 중 단연 1위다. 2위는 마이크 리크(0.72), 3위는 태너 로아크(0.96)였다.

세이버메트릭스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글래빈의 숫자들

물론 무조건 좋은 신호다. 볼넷에 짜다는 건 A급 투수의 기본 아닌가. 반대를 상상해 보시라. 얼마나 짜증나고, 갑갑한가. 맞더라도 시원하게 승부를 봐야한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다. 특히나 투구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더 그렇다.

그런데…그런데 말이다. 이 부분에서 조금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기준을 벗어나야 하는 일이다. 즉 기록의 적용 조건을 바꿔보자는 뜻이다. 리그 톱의 수준에 맞춰서 생각해 보자는 말이다.

앞서 톰 글래빈의 사례를 장황하게 떠들었다. 이유가 있다. 99번과 몇 가지 부합하는 점 때문이다. ① 왼쪽이다. ② 볼 스피드에 연연하지 않는다. ③ 바깥쪽 체인지업이 중요한 메뉴다. ④ 그래서 제구력에 목숨을 건다.

300승 투수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통계 숫자가 소름끼칠 정도는 아니라는 점이다. 딱히 특급 투수에 걸맞는 게 없다. 때문에 요즘 세이브메트리션의 관점에서 보면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대표적인 게 볼넷이다. 그의 통산 BB/9(9이닝당 볼넷 허용)는 3.06이다. 그렉 매덕스(1.80), 로이 할러데이(1.93), 커트 실링(1.96) 등 100명 가까운(정확하게는 94명) 투수들이 2.00 이하인 것과 대비된다. 즉 이 항목에서는 통산 23번째 300승의 레전드급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뜻이다.

특히나 1회만 따지면 더 심하다. 1회 통산 ERA가 4.58(전체 3.54)이나 된다. 삼진/볼넷 비율은 1.16 밖에 되지 않는다. 전체 1.74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사진제공 = 게티이미지

봉중근이 존경한 글래빈, 그에게 느껴야 할 것

2014년 올스타전이 광주에서 열렸다. 앞선 팬 사인회 때였다. 봉중근 의사 주변에 인파가 모였다. 기자들이었다. 화상 통화하고 있는 장면이 심상치 않아서다. 의사가 툴툴거린다. “야, 그만 좀 끊고 자라. 너 때문에 내 주변에는 팬들이 하나도 없어. 기자님들 뿐이야.” 핀잔의 상대는 다저스 투수였다. 세인트루이스 원정길에 심심해서 걸려온 전화였다. “내 탓은 무슨. 형이 인기가 없어서 그런 거예요.”

둘은 이상하게 친하다. 학교나 팀이 겹치는 게 없는 데도 그렇다. 아마도 대표팀에서 생긴 친분일 것이다. 특히나 후배가 유난히 따르는 눈치다.

이제 은퇴하는 선배가 존경했던 투수 얘기로 돌아가보자. 톰 글래빈은 왜 헤프게 던졌을까. 볼넷도 많고, 1회를 힘겹게 보냈을까. 정교한 핀 포인트 제구를 생명처럼 여겼던 대투수가 말이다.

기록의 이면에 집중해야한다. 99번 투수는 후반기 7게임에서 40.2이닝 동안 단 3개의 볼넷만 줬다. 분명 대단한 일이다. 그러나 그건 단면일 뿐이다. 그 뒷면도 봐야한다.

그 기간에 그는 2승 3패를 기록했다. 5실점이 1번, 3실점이 2번이나 있었다. 홈런은 5개를 허용했다. 공짜로 내보내지만 않았을 뿐이다. 많은 안타와 점수를 허용했다. 그건 팀의 승패와 직결된 것들이었다.

몬스터의 통산 BB/9는 2.28이다. 글래빈은 그보다 훨씬 높다. 무려 3.06이다. 심지어 22승(6패) 시즌(1993년)에는 더 올라갔다. 3.20까지 됐다. 사상 최고의 정밀함을 갖춘 스나이퍼가 왜 그랬을까.

본질에 치중하자. 목표는 이기는 것이다. 깔끔한 건 스타일일 뿐이다. 승리를 위해서는 때로 망가질 필요도 있다. 볼넷이라는 스트레스도 견뎌야 한다. 피하고, 돌아가야 할 때도 있는 법이다. 무작정 '공짜는 절대 안돼'라는 태도만이 능사는 아니다.

어쩌면 그게 리그의 A급 또는 특급 레벨이 요구하는 조건인 지도 모른다.

백종인 / 칼럼니스트 前 일간스포츠 야구팀장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